게저 2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게저 2세는 1141년 헝가리 국왕 벨러 2세의 뒤를 이어 11세의 어린 나이에 즉위했다. 섭정의 도움을 받아 통치를 시작했으며, 보리스의 왕위 찬탈 시도와 오스트리아-바이에른 연합군의 침공을 물리쳤다. 비잔틴 제국과의 전쟁과 동맹 관계를 맺으며 대외 정책을 펼쳤고, 십자군 통과, 종교 정책, 트란실바니아 식민 활동을 추진했다. 프리드리히 1세와의 관계 속에서 동생 이슈트반의 반란을 겪었으며, 교황 알렉산데르 3세와 관계를 맺었다. 1162년 사망하여 이슈트반 3세가 왕위를 계승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톨너주 출신 - 코바치 언털
코바치 언털은 헝가리 유도 선수로, 19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 하프헤비급 금메달, 1993년 세계 유도 선수권 대회 우승, 2001년 세계 유도 선수권 대회 은메달 등 국제적인 무대에서 뛰어난 성적을 거두었다. - 톨너주 출신 - 버로티 아르파드
버로티 아르파드는 헝가리 출신 배구 선수로, 두나페르 SE에서 선수 생활을 시작하여 여러 국가의 리그에서 활동했으며, 대한민국 V리그와 헝가리 남자 배구 국가대표팀에서도 활약했고, 독일 분데스리가에서 CEV컵과 독일 컵, 독일 선수권 우승을 차지했다. - 12세기 헝가리 사람 - 이슈트반 4세
이슈트반 4세는 벨러 2세의 아들이자 게저 2세의 동생으로, 형에 대항하여 반란을 일으킨 후 비잔티움 제국의 지원을 받아 헝가리 왕위를 주장했으나, 이슈트반 3세에게 패배하고 결국 독살당했다. - 12세기 헝가리 사람 - 라슬로 2세
라슬로 2세는 벨러 2세의 아들이자 비잔티움 제국의 지원을 받은 헝가리의 대립왕이었으나, 반년 만에 통치를 마감하며 헝가리 왕국 내 분열을 심화시켰다. - 1162년 사망 - 이븐 주르
이븐 주르는 중세 이슬람 시대 안달루시아의 저명한 의학자로, 임상 의학에 헌신하고 실험적 방법론을 통해 의학 발전에 기여했으며, 그의 저서와 업적은 후대 의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 1162년 사망 - 보두앵 3세 (예루살렘)
보두앵 3세는 예루살렘 왕국의 왕으로, 어머니 멜리장드와 공동 통치 후 친정을 통해 단독 통치자가 되었으며, 아스칼론 점령과 비잔티움 제국과의 동맹을 추진했으나 십자군 국가 간의 갈등과 내부 분열을 겪고 갑작스럽게 사망하여 독살 의혹이 있다.
게저 2세 | |
---|---|
기본 정보 | |
![]() | |
칭호 | 헝가리 국왕 겸 크로아티아 국왕 |
통치 기간 | 1141년 2월 13일 – 1162년 5월 31일 |
대관식 | 1141년 2월 16일 |
이전 통치자 | 벨러 2세 |
다음 통치자 | 이슈트반 3세 |
섭정 | 헬레나와 벨로시 (1141년–1147년) |
왕조 | 아르파드 왕조 |
아버지 | 벨러 2세 |
어머니 | 헬레나 |
출생일 | 1130년 |
출생 장소 | 톨나, 헝가리 왕국 |
사망일 | 1162년 5월 31일 |
사망 장소 | 세케슈페헤르바르, 헝가리 왕국 |
매장지 | 세케슈페헤르바르 대성당 |
종교 | 로마 가톨릭 |
가족 | |
배우자 | 키예프의 에프로시니야 |
자녀 | 이슈트반 3세 벨러 3세 엘리자베트 (보헤미아 공작 부인) 게저 (게저 2세의 아들) 헬레나 (오스트리아 공작 부인) |
이름 | |
헝가리어 | II. Géza |
크로아티아어 | Gejza II. |
슬로바키아어 | Gejza II. |
2. 생애
게저 2세는 벨러 2세의 아들로, 11세의 어린 나이로 헝가리 왕위에 올랐다. 어머니 세르비아의 옐레나(헝가리어로 일로너)와 그녀의 오빠 벨로시가 섭정을 맡았다.[1]
1145년, 칼만 국왕의 아들이라고 주장하는 보리스가 왕위 계승권을 주장하며 신성 로마 제국의 도움을 받아 헝가리를 침공했다. 보리스는 바이에른과 오스트리아 출신 용병들을 이끌고 포조니(Pozsony, 현재의 슬로바키아 브라티슬라바) 요새를 점령했다.[1][4] 게저 2세는 포조니 요새를 포위하고 반격에 나섰으며, 1146년 9월 11일 피샤 강(Fischa) 전투에서 바이에른-오스트리아 연합군을 격파했다.[1]
1148년부터 1155년까지 게저 2세는 비잔티움 제국의 황제 마누엘 1세 콤네노스와 전쟁을 벌였다. 이후 그의 왕위는 이슈트반 3세에게 넘어갔다.[6]
2. 1. 초기 생애 (1130년 ~ 1141년)
벨러 2세의 아들로 1130년, 헝가리 국왕 벨러 2세와 헬레나의 장남으로 태어났다.[1][2] 게저의 아버지인 벨러 2세는 1110년대에 반란을 일으킨 아버지 알모스와 함께 칼만 국왕의 명령으로 눈이 멀게 되었다. 칼만은 이슈트반 2세의 왕위 계승을 확실히 하고자 했다.[3] 게저가 태어났을 때, 그의 부모는 이슈트반 국왕이 그들에게 하사한 톨너의 영지에서 살았다.[1] 1131년 봄, 게저의 아버지는 이슈트반 국왕의 뒤를 이어 왕위에 올랐다.[4] 같은 해, 헬레나 왕비는 게저와 그의 남동생 라슬로를 아라드에서 열린 회의에 데려갔고, 그곳에서 "국왕을 눈멀게 한 자들의 조언"에 따라 귀족 68명을 학살하라고 명령했다.[5]1141년, 아버지 벨러 2세가 사망하고 불과 3일 만에 왕위에 올랐지만, 어린 나이 때문에 어머니 일로나와 일로나의 오빠였던 벨로시(Beloš)가 섭정을 맡았다.[6]
2. 2. 즉위와 통치 초반 (1141년 ~ 1146년)
벨러 2세의 아들로 태어난 게저 2세는 11세의 어린 나이로 즉위했다. 어머니 세르비아의 옐레나(Jelena, 헝가리어로는 일로너(Ilona))와 옐레나의 오빠 벨로시(Beloš)가 섭정을 맡았다.[1]1145년 칼만 국왕의 두 번째 아내였던 키예프 대공국의 옙피미야의 아들 보리스(Borisz)는 자신이 칼만의 왕위 계승권자라고 주장하며 신성 로마 제국의 콘라트 3세에게 도움을 요청했다. 보리스는 보헤미아의 블라디슬라프 2세 공작과 함께 바이에른에 입성하여 바이에른 및 오스트리아 출신 용병을 고용해 헝가리를 침공, 포조니(Pozsony, 현재의 슬로바키아 브라티슬라바) 요새를 기습 점령했다.[1][4]
게저 2세는 포조니 요새를 포위하며 반격했고, 1146년 9월 11일 피샤 강(Fischa) 전투에서 바이에른-오스트리아 연합군을 물리쳤다.[1]
1141년 아버지 벨러 2세 사망 직후 즉위했으나, 나이가 어려 어머니 일로나가 섭정했다.[6] 같은 해 발행된 게저의 첫 헌장에서는 달마티아 스플리트 시민들의 특권을 확인했으며, "신의 은총으로, 헝가리, 달마티아, 크로아티아, 라마 왕국의 국왕"으로 칭해졌다.[3] 시베니크, 트로기르 등 달마티아 중부 도시들은 1142년경 헝가리 침략 이후 게저의 종주권을 받아들였다.[3] 1144년, 헝가리군은 게저의 아버지와 동맹이었던 할리치의 볼로디미르코를 지원하여 키예프의 세볼로트 2세의 할리치 공국 침략을 막으려 했으나, 이파티예프 연대기에 따르면 "전혀 쓸모가 없었다."[3]
보리스는 콜로만의 두 번째 부인 키예프의 유페미아의 아들이었으나, 콜로만은 간통 혐의로 유페미아를 내쫓았다.[4] 프라이징의 오토 주교에 따르면, 보리스는 1145년 말 콘라트 3세에게 도움을 요청했고, 보헤미아 공작이자 국왕인 블라디슬라프 2세의 추천으로 독일 군주는 보리스에게 용병 모집을 허가했다.[4] 왕실군은 프레스부르크(현재의 슬로바키아 브라티슬라바) 요새를 봉쇄, 보리스의 용병들에게 보상을 대가로 항복을 설득했다.[4]
헝가리인들은 콘라트 3세를 비난하며 신성 로마 제국 침공을 결정했다.[5] 라이타 강(현재 오스트리아의 라이타)을 건너기 전, 16세의 게저는 성년을 기념해 칼을 받았다.[5] 피스차 전투에서 게저와 벨로스는 오스트리아 변경백 하인리히 야소미르고트가 이끄는 독일군을 격파했다.[5]
2. 3. 십자군 원정과 대외 관계 (1146년 ~ 1147년)
게저 2세는 1146년 하반기에 키예프 대공 이자슬라프 2세의 여동생인 키예프의 에우프로시네와 결혼했다.[2] 콘라트 3세가 헝가리를 거쳐 성지로 십자군을 이끌기로 결정하면서 독일-헝가리 관계는 긴장 상태를 유지했다.[2] 그러나 게저 2세는 "무력보다 금으로 더 쉽게 정복할 수 있다는 것을 알고 있었고, 독일인들에게 많은 돈을 쏟아 부어 그들의 공격을 피했다"고 드외유의 오도는 기록했다.[2] 독일 십자군은 1147년 6월에 큰 사고 없이 헝가리를 통과했다.[2]
''연대기 채색 필사본''에는 몇몇 헝가리 귀족들이 보리스에게 "그가 왕국으로 진입할 수 있다면, 많은 사람들이 그를 주군으로 삼고, 국왕을 버리고 그에게 충성할 것이다"라고 약속했다고 기록되어 있다.[3] 보리스는 독일인들을 따라 성지로 향하는 프랑스 십자군 속에 숨어 있도록 두 명의 프랑스 귀족을 설득했다.[3] 프랑스 국왕 루이 7세와 그의 십자군은 8월에 헝가리에 도착했다.[3] 게저 2세는 자신의 적이 프랑스인들과 함께 있다는 것을 알고 그를 인도할 것을 요구했다.[4] 루이 7세는 이 요구를 거부했지만 보리스를 구금했고, 드외유의 오도에 따르면 "그를 헝가리에서 내보냈다".[4] 보리스는 헝가리를 떠나 비잔티움 제국에 정착했다.[4]
2. 4. 적극적인 대외 정책 (1147년 ~ 1155년)
게저 2세는 1140년대 후반, 유럽 강대국 간의 분쟁 속에서 시칠리아의 로제르 2세와 동맹을 맺고 비잔티움 제국 황제 마누엘 1세 콤네노스와 신성 로마 제국 황제 콘라트 3세의 연합에 대항했다.[1] 1148년 봄, 게저 2세는 키예프 대공국의 이쟈슬라프 2세를 지원하여 체르니고프의 블라디미르에 대항하도록 군대를 파견했다.[1]1149년, 세르비아 대공국이 반란을 일으키자 마누엘 1세는 세르비아를 침공했고, 헝가리군은 세르비아를 지원했다.[1] 그러나 유리 돌고루키가 키예프에서 이쟈슬라프 2세를 추방하자, 게저 2세는 마누엘 1세와의 전쟁을 이유로 이쟈슬라프 2세에 대한 지원을 거절했다.[1] 1150년 초, 헝가리 지원군은 이쟈슬라프 2세가 키예프를 재점령하는 것을 도왔지만, 곧 유리 돌고루키에게 다시 축출되었다.[1] 가을에 게저 2세는 할리치 공국의 볼로디미르코 볼로다로비치에 대항하여 군대를 이끌고 사노크를 점령했지만, 볼로디미르코의 뇌물로 헝가리 사령관들이 게저 2세를 설득하여 할리치를 떠나게 했다.[1]
1150년, 헝가리 기병대와 할리치 연합군은 세르비아를 지원했지만, 비잔티움 군대에 패배했다.[1] 이후 세르비아는 비잔티움 제국의 종주권을 인정해야 했다.[1] 마누엘 1세는 헝가리에 보복 원정을 감행했고, 자칭 왕위 계승자 보리스도 헝가리를 침입했다.[1] 게저 2세는 평화를 요청했고, 1150년 말 또는 1151년 초에 평화 조약이 체결되었다.[1]
1151년, 게저 2세는 헨리 야소미고트와의 관계를 정상화하고 이쟈슬라프 2세에게 다시 지원군을 보냈다.[1] 그러나 3개월 후, 할리치의 볼로디미르코는 키예프로 향하던 헝가리 군대를 격파했다.[1] 1152년 여름, 게저 2세는 할리치를 침공하여 이쟈슬라프 2세와 연합하여 볼로디미르코를 격파하고 평화 조약을 체결하게 했다.[1]
교황 에우제니오 3세는 헝가리 교회를 강화하기 위해 사절을 보냈지만, 게저 2세는 교황 사절의 입국을 금지하여 교황청과의 관계가 악화되었음을 드러냈다.[1] 1153년 봄, 게저 2세는 파리스트리온을 침공하려 했으나 마누엘 1세의 진군으로 무산되었고, 사르디카에서 새로운 평화 조약이 체결되었다.[1] 이 조약에 따라 비잔티움은 헝가리 전쟁 포로들을 석방했다.[1]
게저 2세는 많은 군대와 용맹함으로 주변 국가들의 두려움을 샀으며, 뵈쇠르메니 무슬림 병사들을 고용했다.[1] 그는 무슬림 신민들에게 첩을 허용하고, 서유럽 기사들을 헝가리에 정착시키는 등 헝가리 사회에 변화를 가져왔다.[1] 트란실바니아 작센인의 조상들도 게저 2세의 초청으로 트란실바니아에 정착했다.[1]
1154년 10월, 교황 아나스타시오 4세는 달마티아에서 게저 2세의 통치를 불법으로 선언했다.[1] 안드로니코스 1세 콤네노스는 게저 2세에게 비잔티움 제국에 대항하는 지원을 대가로 도시들을 넘겨주겠다고 제안했고, 게저 2세는 시칠리아의 윌리엄 1세와 동맹을 맺으려 했다.[1] 1154년 말, 게저 2세는 비잔티움 제국을 침공하여 브라니체보를 포위했지만, 안드로니코스 콤네노스의 체포 소식을 듣고 포위를 풀고 헝가리로 돌아갔다.[1] 1155년 초, 비잔티움과 헝가리는 새로운 평화 조약을 체결했다.[1] 같은 해, 비잔틴 군대는 게저 2세의 동맹인 데사를 세르비아에서 추방했다.[1]
2. 5. 통치 후반 (1155년 ~ 1162년)
프리드리히 바르바롯사가 신성 로마 황제로 즉위한 후, 헝가리와 신성 로마 제국 간의 관계는 긴장 상태를 유지했다. 1156년, 바르바롯사는 오스트리아를 공작령으로 격상시키는 헌장에서 오스트리아 공작들이 헝가리와의 전쟁에서 신성 로마 황제를 지원하도록 규정했다.[10] 1157년 여름, 바르바롯사의 측근인 다니엘 프라하 주교가 헝가리를 방문했고, 이때 게저 2세는 황제가 이탈리아를 침공할 경우 보조 병력을 지원하겠다고 약속했다.[11]게저 2세의 막내 동생 이슈트반은 삼촌 벨로스와 다른 귀족들과 공모하여 왕위에 대한 반란을 꾀했다. 게저 2세는 내전을 피하기 위해 이슈트반의 지지자들을 박해하고, 이슈트반을 왕국에서 추방한 후 사형을 선고했다.[10] 이슈트반은 신성 로마 제국으로 도망쳐 프리드리히 1세의 보호를 요청했고, 1158년 프리드리히 1세는 게자와 이슈트반 간의 갈등 중재를 시도했으나, 결국 "더 적절한 시기"로 연기했다.[11] 그 후 이슈트반은 동로마 제국으로 가서 콘스탄티노폴리스에 정착, 황제 마누엘 1세 콤네노스의 조카 마리아 콤네네와 결혼했다.
1159년 교황 하드리아노 4세의 죽음 이후, 추기경단이 분열되어 알렉산데르 3세와 빅토르 4세로 나뉘었다. 게저 2세는 처음에는 빅토르 4세를 지지했으나, 에스테르곰 대주교 루카스의 설득과 유럽 군주들의 지지에 따라 알렉산데르 3세를 인정하는 쪽으로 입장을 바꾸었다. 1161년, 게자 2세는 알렉산데르 3세와 정교 조약을 체결하여 성직자 임명에 대한 왕의 권한을 강화했다.
게저 2세는 동로마 제국과 5년 동안 휴전 협정을 맺었다. 그는 죽기 직전, 아들 벨러에게 달마티아, 크로아티아 및 기타 영토를 분봉 공작령으로 부여했다. 게저 2세는 1162년 5월 31일에 사망하여 세케슈페헤르바르에 묻혔다.
3. 가족 관계
게저 2세는 키예프 대공 므스티슬라프 1세의 딸 에우프로시네와 1146년에 결혼했다. 에우프로시네는 게저 2세보다 오래 살았으며 1193년경에 사망했다.[2]
이름 | 출생 - 사망 | 기타 |
---|---|---|
이슈트반 3세 | 1147년 - 1172년 | 헝가리 왕 (1162년 - 1172년) |
벨러 3세 | 1148년 - 1196년 | 헝가리 왕 (1172년 - 1196년) |
엘리자베스 | 1149년 - 1189년 이후 | 1157년 보헤미아의 프리드리히와 결혼[3] |
게저 | 1150년 - 1210년 이후 | |
오돌라 | 생몰년 미상 | 보헤미아 공작 스뱌토폴크와 결혼[4] |
헬레나 | 1158년 - 1199년 | 1174년 오스트리아 공작 레오폴트 5세와 결혼[5] |
마르기트 | 1162년 출생 - 1208년 | |
아르파드 | 어린 시절에 사망.[6] |
참조
[1]
서적
The Hungarian Illuminated Chronicle
[2]
서적
Odo of Deuil: De Profectione Ludovici VII in Orientem: The Journey of Louis VII to the East
[3]
서적
The Hungarian Illuminated Chronicle
[4]
서적
Odo of Deuil: De Profectione Ludovici VII in Orientem: The Journey of Louis VII to the East
[5]
서적
Deeds of John and Manuel Comnenus by John Kinnamos
[6]
서적
Deeds of John and Manuel Comnenus by John Kinnamos
[7]
서적
The Deeds of Frederick Barbarossa
[8]
서적
The Travels of Abū Hāmid al-Andalusī al-Gharnātī, 1130–1155
[9]
서적
The Travels of Abū Hāmid al-Andalusī al-Gharnātī, 1130–1155
[10]
서적
O City of Byzantium, Annals of Niketas Choniates
[11]
서적
The Deeds of Frederick Barbaross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